1. 모델링의 이해
1.1 모델링의 정의
- 모델이란?
모델(模型, model) 또는 모형은 객체, 시스템, 또는 개념에 대한 구조나 작업을 보여주기 위한 패턴, 계획, 또는 설명이다. [위키백과] 즉 모델이라고 하는 것은 모형 또는 축소형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사람 간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데 사용 목적이 있습니다.
- 모델링이란?
모델을 만드는 일을 모델링이라 합니다. 모델의 정의를 참고하여 정리해보자면, 복잡한 현실세계를 일정한 표기법으로 표기하는 것 자체를 의미합니다.
1.2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현실세계의 사람, 사물, 개념 등을 일정한 표기법으로 표현.
-
단순화: 복잡한 현실세계를 제한된 표기법으로 표현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명확화: 표현 대상의 애매모호함을 제거합니다.
1.3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
데이터 관점: 데이터들이 어떤 업무과 얽혀있는지, 데이터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
프로세스 관점: 업무가 실제로 처리하는 일과 앞으로 처리해야 할 일을 중심으로 모델링하는 방법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 관점: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2. 데이터 모델의 기본 개념 이해
2.1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이란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이를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 모델로 환원하여 고객의 요구에 따라 특정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위키백과]
-
정보시스템 구축하기 위해서 데이터 관점에서 업무를 분석하는 기법
-
데이터(What)를 약속된 표기법으로 표현
-
데이스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설계도
2.2 데이터 모델의 기능
-
가시화: 시스템의 현재 또는 목표로 하는 모습을 드러나게 합니다.
-
구조화한 틀: 시스템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
문서화: 문서화된 자료가 만들어져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합니다.
-
간결한 표현: 세부 사항을 숨겨 필요한 영역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
구체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관련자의 특정 목표에 따라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합니.
3. 데이터 모델링의 필요성
- 파급효과: 시스템 구축이 완성되어 가는 시점에 데이터 모델의 불가피한 변경이 발생한다고 가정해 봅니다. 변경에 따른 표준 영향 분석, 응용 영향 분석 등 많은 분석 활동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리고 실제적인 변경작업이 이뤄집이다. 많은 분석에도 불구하고 잠재적 위험 요소에 대한 불안을 떨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 설계 과정이 다른 설계 과정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간결한 표현: 데이터 모델은 구축할 시스템의 정보 요구 사항과 한계점을 명확하면서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품질: 데이터는 중요한 자산이자 기업 가치와 연결됩니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오랜 기간 묵혀둘수록 그 활용가치는 높아집니다. 긴 시간 저장된 데이터의 품질이 낮다면 어떨까요? 데이터 활용 기회가 날아가며 소중한 비즈니스 기회 상실로 이어지게 됩니다. 데이터 품질의 문제가 야기되는 원인으로는 1) 중복 2) 비유연성 3) 비일관성이 있습니다.
- 중복: 데이터 모델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곳들을 파악하기 좋게 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데이터 중복 저장 가능성을 줄여줍니다.
- 비유연성: 잘못된 데이터 모델링은 사소한 프로세스의 변화에도 애플리케이션 및 DB가 변경되도록 합니다.
- 비일관성: 중복 데이터가 없다는 이유로 데이터 수정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비일관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간 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인데요.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서 데이터 간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있습니다.
4.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추상화 수준이 높음
- 업무 중심적
- 포괄적
- 전사적 데이터 모델링
- 엔티티-관계 다이어그램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식별자 확정
- 정규화
- M:M 관계 해소
- 참조 무결성 규칙 정의
- 재사용성 높음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실제 DB 이식 목적
- 성능, 저장 등 물리적 성격 고려
graph TD;
node1[개체 - 현실세계]
node2[개념적 구조 - 개념세계]
node3[논리적 구조 - 개념세계]
node4[저장 DB - 물리세계]
node1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node2;
node2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node3;
node3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node4;
5.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와 데이터 모델링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란 시스템 엔지니어링, 정보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정보 시스템을 계획, 개발, 시험, 채용하는 과정을 뜻하는 용어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는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넓은 범위에 적용할 수 있다. 대개 요구사항 분석→설계→개발→테스트→운영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위키백과]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에 따라 조금씩 상이하겠지만, 일반적으로 계획 단계에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고 분석 단계에서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며 설계 단계에서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합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터 축과 애플리케이션 축으로 분리하여 산출물을 만들고 상호 검증하며 완성도를 높여 갑니다. 객체지향 개념에서는 두 개의 축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클래스[데이터(속성) + 프로세스(Method)]를 중심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6. 데이터 독립성
6.1 데이터 독립성의 필요성
-
유지보수 비용감소
-
데이터 중복 감소
-
데이터 복잡도 감소
-
요구사항 대응 강화
데이터에 대해 독립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하게 되면 자신의 고유한 특징을 분명히 할 수 있고, 데이터 종속성이 감소하여 다른 데이터의 변경에도 쉽게 변경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6.2 데이터 독립성 확보의 이점
-
각 View의 독립성 유지
-
계층별 독립성 증가
-
단계별 스키마에 따라 DDL, DML이 다름
6.2 ANSI/SPARC의 Three-schema
- Three-schema Architecture 구조
graph TD
node3(Conceptual Schema) --물리적 독립성--> node(Internal Schema)
node1(External Schema 1) --논리적 독립성-->node3
node2(External Schema 2) -->node3
-
외부 스키마: 사용자 관점, Sub Schem
-
개념 스키마: 통합 관점, 조직 전체의 Database
-
내부 스키마: 물리적 저장구조
6.3 영역 간 데이터 독립성
-
논리적 독립성: 통합 구조 변경 용이
-
물리적 독립성: 물리, 개념 구조 변경 용이
6.4 Mapping(사상)
-
논리적 사상(외부-개념): 외부적 뷰와 개념적 뷰 간에 매핑 정보를 정의합니다. 개념적 뷰의 필드 타입은 고정된 채로 외부적 뷰의 형식에 따라 다른 필드 타입을 가질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사상(개념-물리): 개념적 뷰와 데이터베이스 간에 매핑 정보를 정의합니다. DB의 구조 변경 시 물리적 사상이 변경(DBA 수행 영역, DDL 변경)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개념적 뷰를 그대로 남겨둘 수 있습니다.
7.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 개념
7.1 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요소
-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Thing, Entity)
-
어떤 것의 성격(Attribute)
-
어떤 것 간의 관계(Relationship)
7.2 단수와 집합
8. ERD의 이해
8.1 ERD의 정의
ERD란 “Entity Relationship Diagram”의 약자로서, 계체-관계 다이어그램이라고도 하며 말로 되어 있는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그림으로 그려내어 그 관계를 도출한 다이어그램을 말한다. 즉, ERD는 엔티티(entity) 간의 관계(relationship)를 도표(diagram)로 표시한 그림이다. [해시넷]
8.2 ERD 표기 방식
-
Peter Chan : 주로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표기법, 실무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
IDEFIX : 실무에서 드물게 사용되며 ERWin에서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
IE/Crow’s Foot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이며 ERWin, ERStudio에서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
Min-Max/ISO : 각 엔터티의 참여도를 좀 더 상세하게 나타냅니다.
-
UML :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Case Method/Barker : IE를 적용하면서 관계 표기법 등 일부가 다릅니다. Oracle에서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DAP-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8.3 ERD 표기법을 활용한 모델링
8.3.1 ERD 작성순서
엔터티 도출 → 엔터티 배치 → 엔터티 간의 관계 설정 → 관계명 기입 → 관계 참여도 기입 → 관계의 필수/선택 여부 기입
- 엔터티 배치
일반적으로 사람 눈은 왼쪽에서 오른쪽,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중요한 엔터티를 좌상단에 배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른 엔터티를 전개합니다.
- 관계 설정
엔터티 배치를 마치면 관계를 설정합니다. 초기에는 Primary Key로 속성이 상속되는 식별 관계를 설정합니다. 중복 관계, Circle 관계 발생에 주의하며 설정을 진행합니다.
- 관계명 기입
관계 설정을 마치면 관계명을 작성합니다. 관계명은 현재형을 사용합니다.
- 관계 참여도 및 필수/선택 기입
엔터티가 관계에 얼마나 참여하는지를 나타내는 관계차수(Cardinality) 및 필수 여부를 작성합니다.
9. 좋은 데이터 모델의 요소
-
완전성: 업무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가 모델에 정의되어 있는가?
-
중복 배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동일한 사실이 한 번만 기록되는가?
-
업무 규칙: 업무 규칙이 데이터 모델에 표현되었는가?
-
데이터 재사용: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가?
-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
통합 모델, 부서 단위가 아닌 회사 전체 관점으로 설계합니다.
-
애플리케이션-데이터 간 독립성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
-
-
의사소통: 데이터 모델의 다양한 역할 중에서 의사소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
- 의사소통 기능이란 정보시스템 관계자들이 설계자가 정의한 많은 업무 규칙을 동일하게 받아들이고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통합성: 동일한 데이터가 조직 내에서 한 번만 정의되고 다른 여러 영역에서 참조•사용되는가?
- 단위 업무별 시스템으로 확장될 때 마스터 성격의 데이터(고객, 상품 등)가 분할되어 관리됩니다.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각 업무 시스템이 이를 참조•사용하는 것입니다 (성능을 고려한 반정규화에 의한 중복은 예외).
References
SQL 전문가 가이드(2020 개정판)
https://dataonair.or.kr
https://www.wikipedia.org